교과 교육 연구
2010. 12
국어교육의 이념 정립을 위한 논변 김대행❙ 7
중국조선족 민족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김성봉․김해영❙ 47
문법 교과서 개발에서의 현상 기술과 설명의 조화를 위한 제언 송홍규❙ 71
An Overview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and Practices:
Shim, Jae-woo❙ 93
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의 ‘정리학습’ 분석
-초등학교 1~4학년을 중심으로- 이주섭․김은미❙121
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생성형 학습과
이해형 학습의 적용에 따른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감성변화 이준기❙149
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지구과학과 수업목표 분류
김소연․오희진․이효녕❙171
지역방언 문헌 자료에 반영된
언어 현상의 역사성에 대한 일 고찰 최전승❙207
-중세국어의 부사형어미 ‘-긔,->-게’의 반사체를 중심으로-
사례분석의 방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 수업방안 허영식❙26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