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획1 : 문학교육의 다각적 양상
시교육에서 언어의 외연 문제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김영미
초등학교 시 창작교육 방법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정승우
기획2 :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
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
현실 발음 유형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박 헤레나
한국어와 독일어의 친족 호칭어 대조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이은성
Environmental Discourses of Fishers on Seawater Change
-A Case Study of Jeju Island, South Korea -................Chang, Shin-ock
사회과 수업장학요원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
- 수업평가 기준별 분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-.................강대현
삶의 이상과 도덕 교육
-고등학교 더덕 교과서를 중심으로-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최형찬
읽기 패러다임의 변화와 읽기 교육의 대응 양상.................최숙기
세 개의 관점으로 바라본 서동설화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장용수
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 발달 과정에서 개별성과 보편성에 대한 일고찰
-『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』을 중심으로-.........최전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