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과 교육 연구
2013. 6
사설시조를 중심으로 본
비유적 표현의 효과 및 교수-학습 목표 설정........................... 김세림? 7
중학교 『생활국어』 교과서의
쓰기영역 학습활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김유미?37
-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-
위항시인 洪世泰를 통해 본 天機論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손앵화?63
정보그림책의 정보 전달 방식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안상희?85
한국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
한국어 발음의 음성학적 특성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윤은미·김다와·김현기?109
독일어능력시험과 한국어능력시험
듣기 문항 유형 분석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이은성?135
하위 수준 중학생을 위한 영어 수업 모형의
적용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사례 연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 정유진?161
현대국어 시간 · 양태부사 ‘드디어’(遂)의
통시적 발달 과정에 관한 일 고찰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최전승?193
문학 교육의 위계성과 차별성
: 시조 교육을 예로 하여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한창훈?275